IEEE 128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EEE 1284는 1994년에 발표된 개인용 컴퓨터와 주변 장치 간의 양방향 병렬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1970년대 센트로닉스 병렬 포트의 발전과 HP의 Bitronics 인터페이스를 거쳐, 최대 4MB/s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며, 프린터,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등 다양한 장치 연결에 사용되었다. IEEE 1284는 호환 모드, 니블 모드, 바이트 모드, EPP, ECP 등 5가지 작동 모드를 가지며, DB-25, 센트로닉스, 미니-센트로닉스 커넥터를 사용한다. IEEE 1284 표준은 IEEE 1284-1994, IEEE 1284-2000, IEEE 1284.1-1997, IEEE 1284.3-2000, IEEE 1284.4-2000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USB 2.0 등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등장으로 인해 점차 사용이 줄어들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거시 하드웨어 - 플로피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는 자기 정보를 저장하는 유연한 자기 디스크로 개인용 컴퓨터의 주요 저장매체였으나, 다른 저장매체의 등장으로 사용이 감소하여 현재는 레거시 기술로 여겨지지만 일부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디자인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의 "저장" 아이콘으로 이어지고 있다. - 레거시 하드웨어 - 직렬 포트
직렬 포트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가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 RS-232 표준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USB에 밀려 사용이 줄었지만 특정 분야에서 여전히 활용된다. - IEEE 표준 - IEEE 754
IEEE 754는 부동소수점 숫자를 표현하고 처리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다양한 형식과 연산, 반올림 규칙, 예외 처리 등을 정의한다. - IEEE 표준 - IEEE 802.2
IEEE 802.2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LLC 서브레이어를 정의하는 IEEE 802 표준의 일부로, 비연결 및 연결 지향 모드를 지원하며, LLC 클래스 I, II, III, IV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유형을 제공하고, DSAP, SSAP 주소 및 제어 필드로 구성된 헤더와 필요에 따라 SNAP 확장을 사용해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한다. - 컴퓨터 버스 - NMEA 0183
NMEA 0183은 선박용 GPS, 자동식별장치(AIS) 등 항해 장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ASCII 기반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RS-422 전기 표준을 사용하며, 문장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3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 컴퓨터 버스 - 인피니밴드
인피니밴드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 간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통신 기술로, 슈퍼컴퓨터나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이더넷 기반 기술과의 경쟁 및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적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IEEE 1284 |
|---|
2. 역사적 배경

1970년대에 센트로닉스는 프린터 병렬 포트를 개발했으며, 이는 곧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센트로닉스는 솔레노이드 시리즈를 사용하여 개별 금속 핀을 당겨 리본과 종이를 치는 최초의 성공적인 저가형 7선 인쇄 헤드를 도입했다.
원래 포트 설계는 전송 전용이었으나, 프린터가 더 복잡해지고 더 풍부한 상태 코드가 필요해짐에 따라 제한이 있었다. 이는 1992년 HP가 도입한 "Bitronics" 구현으로 이어졌는데, 원래 포트의 상태 핀을 사용하여 임의의 데이터를 호스트로 다시 보내기 위한 4비트 병렬 포트를 형성했다.
이후 "양방향" 포트가 등장하여 상태 핀을 통해 8비트 주 데이터 버스의 데이터 흐름 방향을 나타냈다. 이는 "향상된 병렬 포트"(EPP) 표준으로 이어졌고, 신호 속도를 2 MB/s로 증가시켰다. 나중에 "확장된 기능 포트"(ECP) 버전에서는 2.5MB/s로 속도가 향상되었다.
1991년 네트워크 인쇄 얼라이언스가 결성되어 새로운 표준 개발을 시작했고, 1994년 3월 IEEE 1284 사양이 발표되었다. IEEE 1284는 이러한 모든 모드를 포함하고, 모든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했다.[1]
2. 1. 센트로닉스 병렬 포트
1970년대에 센트로닉스는 현재 익숙한 프린터 병렬 포트를 개발했으며, 이는 곧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1] 센트로닉스는 솔레노이드 시리즈를 사용하여 개별 금속 핀을 당겨 리본과 종이를 치는 최초의 성공적인 저가형 7선 인쇄 헤드를 도입했다.
도트 매트릭스 인쇄 헤드는 수직 열로 배열된 일련의 금속 핀으로 구성된다. 각 핀은 센트로닉스의 경우 솔레노이드와 같은 일종의 액추에이터에 부착되어 핀을 앞으로 당겨 리본과 종이를 칠 수 있다. 전체 인쇄 헤드는 텍스트 줄을 인쇄하기 위해 수평으로 이동하여 각 문자에 대한 매트릭스를 생성하기 위해 여러 번 종이를 친다. 초기 프린터의 문자 세트는 일반적으로 7x5 "픽셀"을 사용하여 80열 텍스트를 생성했다.
도트 열 시퀀스로 문자를 인쇄하는 복잡성은 컴퓨터에서 문자 인코딩을 한 번에 하나씩, 비트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전송되면서 프린터 전자 장치에 의해 관리된다. 프린터가 정교해지고 메모리 비용이 하락함에 따라 프린터는 버퍼 메모리의 양을 늘리기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한두 줄에서 전체 페이지, 문서로 확대되었다.
원래 포트 설계는 전송 전용으로,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에서 프린터로 보낼 수 있었다. 포트의 별도 핀을 통해 상태 정보를 컴퓨터로 다시 보낼 수 있었다.
2. 2. Bitronics 인터페이스
1992년 휴렛 팩커드(HP)는 "Bitronics"라는 확장 인터페이스를 발표했다. 이는 기존 센트로닉스 표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다.[1] Bitronics는 원래 포트의 상태 핀을 활용하여 4비트 병렬 포트를 구성, 임의의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변화는 프린터가 점차 복잡해지고 더 다양한 상태 정보를 요구함에 따라 기존 방식으로는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에 나타난 해결책이었다.2. 3. IEEE 1284 표준 제정
1991년에는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네트워크 프린팅 얼라이언스가 결성되었다.[1] 1994년 3월에는 IEEE 1284 사양이 발표되었다.[1]3. 주요 특징
IEEE 1284는 이론상 최대 의 빠른 전송 속도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표준이다. 실제 속도는 하드웨어에 따라 약 로 달라진다. 이 표준은 더 빠른 인쇄와 백 채널 상태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던 장치들을 병렬 인터페이스로 대체하여 비용을 절감했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값비싼 SCSI 카드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졌다.
병렬 인터페이스는 이후 근거리 통신망 인터페이스와 USB 2.0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다.[1]
3. 1. 양방향 통신
IEEE 1284 표준은 이론상 최대 4MB/s의 처리량으로 더 빠른 처리량과 양방향 데이터 흐름을 허용하며, 실제 처리량은 하드웨어에 따라 약 2MB/s이다. 프린터 환경에서 이는 더 빠른 인쇄와 백 채널 상태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표준을 통해 주변 장치가 호스트로 대량의 데이터를 다시 보낼 수 있게 되면서, 이전에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장치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는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어댑터 및 기타 장치가 포함되었다. 더 이상 소비자는 값비싼 SCSI 카드를 구매할 필요 없이, 내장된 병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되었다.[1]- IEEE 1284는 더 빠른 처리량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으로 이론상 최대 4Mbps의 처리량을 낼 수 있다.
- * 단 하드웨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약 2Mbps 정도의 처리량이 된다.
- 프린터 측면에서 보면, 이로 인해 "더 빠른 인쇄"와 "채널 상황의 반송 및 관리"가 가능하다.
- 이 새로운 표준을 통해 주변기기는 호스트에 대량의 데이터를 다시 보낼 수 있다.
- * 이 때문에 이전처럼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장치는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 이 장치에는 스캐너나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가 포함된다.
- 컴퓨터 네트워크는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어댑터 및 다른 장치와 직접 연결할 수 있다.
- 소비자는 고가의 SCSI 카드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지고, 병렬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
3. 2. 전송 속도
IEEE 1284 표준은 이론상 최대 4MB/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더 빠른 처리량과 양방향 데이터 흐름을 지원한다. 실제 전송 속도는 하드웨어에 따라 약 2MB/s이다. 프린터 환경에서 이는 더 빠른 인쇄와 백 채널 상태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1] 새로운 표준을 통해 주변 장치는 호스트로 대량의 데이터를 다시 보낼 수 있게 되었고, 이전에는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어댑터 및 기타 장치들을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1] 소비자들은 더 이상 값비싼 SCSI 카드를 구매할 필요 없이, 내장된 병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되었다.[1]병렬 인터페이스는 이후 근거리 통신망 인터페이스와 USB 2.0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다.[1]
3. 3. 주변 장치 지원

IEEE 1284 표준은 이론상 최대 의 처리량으로 더 빠른 처리량과 양방향 데이터 흐름을 허용하지만, 실제 처리량은 하드웨어에 따라 약 이다. 프린터 환경에서 이는 더 빠른 인쇄와 백 채널 상태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표준을 통해 주변 장치가 호스트로 대량의 데이터를 다시 보낼 수 있게 되면서, 이전에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장치를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는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어댑터 및 기타 장치가 포함되었다. 더 이상 소비자는 값비싼 SCSI 카드를 구매할 필요 없이, 내장된 병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되었다.
- IEEE 1284는 더 빠른 처리량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
- 프린터 측면에서 보면, 이로 인해 더 빠른 인쇄와 채널 상황의 반송 및 관리가 가능하다.
- 이 새로운 표준을 통해 주변기기는 호스트에 대량의 데이터를 다시 보낼 수 있어,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장치를 더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 이 장치에는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등이 포함된다.
- 컴퓨터 네트워크는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어댑터 및 다른 장치와 직접 연결할 수 있다.
- 소비자는 고가의 SCSI 카드를 구입할 필요 없이, 병렬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여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4. SCSI 인터페이스와의 관계
IEEE 1284 표준은 더 빠른 처리량과 양방향 데이터 흐름을 허용하여, 이론상 최대 4MB/s, 실제로는 약 2MB/s의 처리량을 제공한다.[1] 프린터 환경에서는 더 빠른 인쇄와 백 채널 상태 및 관리가 가능해졌다.[1] 새로운 표준 덕분에 주변 장치가 호스트로 대량의 데이터를 다시 보낼 수 있게 되면서, 이전에는 SCSI 인터페이스를 사용했던 장치들을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1] 여기에는 스캐너,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병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 어댑터 및 기타 장치가 포함되었다.[1] 소비자들은 더 이상 값비싼 SCSI 카드를 구매할 필요 없이, 내장된 병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되었다.[1]4. 작동 모드
(AB 케이블)/(CC 케이블)

